javascript

·javascript
상황 )특정 버튼을 누르면 해당 객체의 유저이름과 시퀀스를 가지고 comentByDelete함수 실행javascript를 사용하여 동적으로 폼으로 만들고 Post메서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CSRF토큰을 INPUT타입 문자열로 받아온 뒤 생성된 폼에 insertAdjacentHTML를 사용하여 주입
·javascript
생성자 함수로 만들어진 객체는 생성자 함수를 프로토타입으로 가리킵니다..function person(name){ this.name = name;}const one = new person('lee');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one) === person.prototype); // true 그렇다면 생성자 함수도 객체이므로 프로토 타입을 갖게 되므로 person의 프로토 타입은 Object 프로토  타입입니다.console.log(Object.getPrototypeOf(person.prototype) === Object.prototype); // true 객체의 프로퍼티를 확인하는 hasOwnProperty는 person.prototype에 존재하지 않고 Object..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는 사실 객체지향언어 입니다.객체 지향이라고 한다면 현실세계의 실체를 프로그램에 객체로 만들어 사용하는 개념인데, 자바스크립트의 대부분이 객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객체를 만들때 안에 프로퍼티를 생성하고 키와 값으로 쌍으로 이루고 있는 모습입니다.프로토 타입객체 지향의 핵심 개념인 상속은 자바스크립트에서 프로토타입으로 상속과 같은 기능이 사용 가능합니다.function circle(number){ this.number = number; this.getArea = function(){ return Math.PI * this.number ** 2; }}const circle1 = new circle(5);const circle2 = new circle(10);consol..
·javascript
일급 객체란?일급객체(First-class Object)란 다른 객체들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연산을 모두 지원하는 객체를 가리킨다. 일급 객체의 조건무명의 리터럴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런타임에 생성이 가능하다.변수나 자료구조에 저장할 수 있다.함수의 매개변수에 전달할 수 있다.함수의 반환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이렇게 조건만 본다면 일급객체가 뭔지 어렵지만 함수란 의미입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는 일급 객체입니다.함수 객체의 프로퍼티함수는 객체이므로 프로퍼티가 존재합니다. 브라우저 콘솔창에서 console.dir메서드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IDE에서 getOwnPropertyDescriptors메세드로 확인이 가능합니다.function add(number){ return number * nu..
·javascript
프로퍼티 애트리뷰트객체의 프로퍼티에는 자동으로 프로퍼티 애트리뷰트가 생성이 되는데 모든 속성은 true가 되며 변경 가능, 열람 가능, 재정의 가능 상태가 됩니다. 객체에 프로퍼티를 넣는 과정에서 Object.defineProperty메서드를 사용해 정의하면 변경이 가능하다.이미 정의되어 있는 프로퍼티의 애트리뷰트를 수정하기 위해서 3가지 메서드가 제공이 됩니다.객체 프로퍼티 애트리뷰트 수정 메서드Object.preventExtensionsObject.sealObject.freeze첫번째, Object.preventExtensions는 객체 프로퍼티 추가 X, 삭제 O, 읽기 O, 값 사용 O,애트리뷰트 재정의 O두번째, Object.sea는 객체 프로퍼티 추가 X, 삭제 X, 읽기 O, 값 사용 O,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에서 프로퍼티란프로퍼티란 속성이란 뜻으로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 내부의 속성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를 만든다면 Key와 value 한쌍으로 구성이 된다.let person = { name : 'Lee' };해당 person 객체의 name이 프로퍼티인 것이다. 객체에 프로퍼티는 동적으로 추가도 가능하고 delete로 삭제도 가능한데 이는 기본적으로 객체의 프로퍼티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정해지는 프로퍼티 어트리뷰트의 설정이 되어 있다. 프로퍼티 애트리뷰트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관리하는 프로퍼티의 내부 슬롯( 프로퍼티값, 값의 갱신 가능 여부, 열거 가능 여부, 재정의 가능 여부 )를 의미한다. 이는 직접 접근은 할 수 없지만 Object.getOwnPropertyDescrip..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에서 스코프(Scope)란스코프는 컨텍스트는 값 과 "표현식"이 "표현"되거나 참조 될 수 있는 현재 실행되는 컨텍스트를 의미합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유효범위가 스코프이다.var x = 10;function foo(){ var x = 1; bar();}function bar(){ console.log(x);}foo();bar();처음 위 예제를 봣을때 foo함수 안에 bar함수가 잇으니까 직접 대입을 해보면function foo(){ var x = 1; console.log(x);}이렇게 되겠지? 라고 생각을 했다.하지만 결과는 전역변수로 지정한 x의 값만 두번 출력되었다.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언제 결정하는지 생각해보면 2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함수를 어디서 호출..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에서 호이스팅이란 JavaScript 호이스팅 은 인터프리터가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함수, 변수, 클래스 또는 임포트(import)의 선언문을 해당 범위의 맨 위로 끌어올리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뜻합니다. 기본적으로 변수를 저장하는 var, let, const는 호이스팅이 기본적으로 undefined이며 함수는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객체 그대로 호이스팅이 됩니다.함수를 정의하는 대표적인 두가지 방법을 보시면function add01(x, y){ return x + y;}var add02 = function(x, y){ return x + y;} 위의 함수는 함수 선언문이며, 아래 함수는 함수 표현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가지 함수의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호이스팅에 따른 생성 시점의..
noAb
'javascript'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