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JOIN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기본적으로 데이터들의 중복을 최소화 하기 위해 구성된 테이블들을 제대로 조인해야 원하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NAMEAGEDEPT_NOLEA291PARK344RUY222KIM402CHOI333JIN20(NULL)DEPT_NODEPT_NAMETEL1인사팀012개발팀023영업팀034기술팀045임원05 1. INNER JOIN조인중에서 가장 간단한 INNER JOIN은 두 테이블에 특정 컬럼을 비교하여 조건이 일치하는 데이터는 합쳐서 출력을 하게 됩니다.SELECT EM.NAME AS NAME, EM.AGE AS AGE, DP.DEPT_NO AS DEPT_NO, DP.DEPT_NAM..
기본적으로 SQL에서는 사칙연산이 가능한데 비슷한 기능으로 SUM과같은 함수도 존재해서 개념적으로 헷갈리지않게 작성해보겠습니다.COL1COL2COL3COL41(NULL)100200220(NULL)210330(NULL)(NULL)440140240쿼리로 예시를 보기전에 먼저 짚고 넘어가야할게 몇가지 있습니다.SUM은 행들의 합이고 사칙연산은 각 컬럼들의 계산입니다.SUM과 같은 함수를 사용하면 결과는 한 행만 나옵니다.1. 기본 SUMSELECT SUM(COL1) FROM TABLE예시테이블에 COL1컬럼들을 모두 더한는 간단한 쿼리입니다. 결과) 10SELECT SUM(COL2) FROM TABLESUM에서 NULL이 잇는 행은 제외가 됩니다.결과) 902. 기본 사칙연산SELECT (COL1 + COL2..
SQLD방에서 관리자로 활동을 하다보면 정렬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분이 많아서 보기쉽게 정리해보려고합니다.기본적으로 정렬이라고 한다면 데이터들을 출력할때 오름차순, 내림차순을 할 때 사용을 합니다.예시들을 보시면서 같이 보시죠기본 정렬 nameagekim20lea21회원 테이블에 이름과 나이 속성이 있고, kim과 lea회원이 있을때 이름을 기준으로 정렬을 해보겠습니다.select name, age from 회원 order by name ascnameagekim20lea21- order by에 기본은 오름차순이므로 asc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반대로 얘기하면 desc나 asc가 없다면 자동으로 asc오름차순이란 의미입니다.select name, age from 회원 order by name descnam..
상황 )특정 버튼을 누르면 해당 객체의 유저이름과 시퀀스를 가지고 comentByDelete함수 실행javascript를 사용하여 동적으로 폼으로 만들고 Post메서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CSRF토큰을 INPUT타입 문자열로 받아온 뒤 생성된 폼에 insertAdjacentHTML를 사용하여 주입
서버에 저장되는 파일들을 프로젝트 밖에서 관리하기 예제 1) 하나의 톰캣, 하나의 도메인일 경우 두번째 Context를 보게되면 /upload라는 도메인 path를 사용하여 filduploadDirectory경로에 접근을 하였다. 파일을 다룰땐 해당 /upload경로를 사용하여 fileuploadDirectory경로에서 관리예제 2) 하나의 톰캣에서 두개의 도메인 사용하지만 같은 파일관리는 같은곳을 바라볼 때 해당 예제에서는 두개의 도메인이 같은 업로드 폴더를 바라보게 설정해놨다.
한개의 톰캣 엔지에 두개 이상의 호스트 적용하기 ( +로컬 도메인 이름 추가 )localhost 말고 다른 이름으로 로컬 도메인 이름 만들기 /etc/hosts 수정127.0.0.1 test.co.kr127.0.0.1 abc.co.kr해당 파일에 위에 두줄 추가하기Tomcat > conf / server.xml 변경 전) --> 변경 후) 두 개의 를 만들어 도메인( name )을 다르게 지정을 했다.appBase는 둘이 다르게 생겼지만 같은 곳을 바라봐도 상관없다.( 본인도 이름만 바꾸고 webapps그대로 복사한 webapps2 사용 )
하나의 도메인에 두개이상의 Context 설정 ( 로그폴더 분리 )로컬에서 localhost라는 로컬도메인을 사용하여 두개의 context를 생성하여 사용하기Tomcat > conf / server.xml변경전) --> Context 1개 추가) Context 2개 추가) Log 관리 폴더 분리) 위에 예제에서는 한개의 ex001이라는 war파일 하나로 진행해서 docBase가 일치하지만Tomcat > webapps 안에 다른 war파일을 넣어서 docBase사용 가능
jar파일을 실행하는 shell 스크립트 파일 자동 실행 1. service 파일 생성/etc/systemd/system/monitor_folder.service[Unit]Description=Monitor folder for changes and run JAR file[Service]ExecStart=/path/to/your/monitor_folder.shRestart=alwaysUser=your-username[Install]WantedBy=multi-user.target /path/to/your/monitor_folder.sh를 실제 스크립트 경로로 변경합니다.your-username을 스크립트를 실행할 사용자 이름으로 변경합니다.2. 서비스 파일 리로드 및 시작sudo systemctl daemo..